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건강 생활 정보

마이크로폰

by 사라1 2020. 6. 30.

마이크로폰


오늘날 우리는 수천 킬로미터 떨어진 곳에 있는 사람과도 전화 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수천 명의 군중 앞에서 쩌렁쩌렁한 목소리로 연설을 할 수도 있다. 그런데 이런 시대를 여는데 가장 큰 공을 세운 발명품이 있다면 무엇일까?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장치, 바로 마이크로폰'이다.



소리를 멀리까지 보내 준다고요? 크게 키워 준다고요? 사람의 목소리는 아무리 커도 200m 이상 갈 수 없다. 

그러나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꿀 수 있다면, 전선을 통해 얼마든지 멀리까지 보낼 수 있다. 이러한 원리를 이용해 개발된 발명품이 바로 전화기이다.


마이크로폰은 전화기에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역할을 하는 핵심 장치이다. 가령 서울에 있는 사람과 부산에 있는 사람이 전화기로 이야기를 주고받을 수 있는 것도 바로 전화기에 마이크로폰이 내장되어 있기 때문이다.

마이크로폰은 전화기에만 쓰이는 것이 아니다. 우리가 흔히 쓰는 마이크는 마이크로폰의 줄임말인데, 마이크로폰을 이용 하면 우리는 수천 명이 모인 공연장에서도 가수의 노래 소리를 크게 들을 수 있다. 

마이크로폰에 증폭기(앰프라고도 한다)와 확 성기(스피커라고도 한다)로 이루어진 확성 장치를 연결하면 작은 소리가 천둥처럼 큰 소리로 바뀌어 청중들에게 전달되기 때 문이다. 

마이크로폰과 증폭기, 확성기의 만남은 귀가 상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들에게도 큰 도움을 주었다. 

마이크로폰과 증 포기 · 스피커를 조그맣게 축소시키면, 소리를 잘 듣지 못하는 사람에게 소리를 전달해 주는 보청기가 태어나니까.


이 보청기를 귀에 쏙 끼우기만 하면, 나이 드신 할머니·할아버지도 선천적으로 청신경이 약한 사람들도 답답해서 가슴을 칠 일이 없다.

소리 도둑, 마이크로폰 첩보 영화를 보면 비밀 요원이 도청 장치를 이용해 다른 사람의 말을 엿듣는 장면이 자주 나온다. 그런데 이것은 영화 속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다. 

마이크로폰과 전선, 스피커만 있으면 특별한 기술 없이도 도청기를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더구나 반도체 산업의 발달로 마이크로폰은 크기가 점점 더 작아져 손톱만한 제품도 생산되고 있고, 

가격도 뚝 떨어져 1~2 만 원이면 충분히 살 수 있다. 

핵심 부품이 이렇게 작고 구하기 쉬우니, 마음만 먹으면 누구나 도청기를 만들어 남의 이야기를 몰래 엿들을 수 있는 것이다. 

실제로도 오늘날 우리 주위에서는 도청이 공공연히 일어나고 있다. 

미국의 37대 대통령 닉슨은 선거를 앞두고 자신의 반대당인 민주당 사무실에 도청 장치를 설치하여 정책과 전략을 

엿듣다가 결국 들통이 나서 대통령 직에서 물러났다. 




그러나 국가 또는 기업 차원에서 일어나는 도청만이 범죄는 아니다. 개인 차원에서 일어나는 도청도 명백한 범죄다. 

개인을 상대로 한 도청은 특히 사생활의 비밀을 지킬 권리를 짓밟는 인권 침해의 문제이다.

사람은 누구나 자기 생활의 비밀을 지킬 권리가 있다. 죄를 짓고 법정에 선 사람에게도 자신의 행동에 대해 이야기하고 

싶지 않으면 침묵을 지킬 권리가 있다.

그런데 누가 내가 하는 이야기 를 모두 듣고 있고, 그래서 나의 하루 생활을 속속들이다 알고 있다면 어떨까? 온몸에 소름이 쫙 돋을 것이다.


마이크로폰은 결코 누군가의 이야기를 엿들을 목적으로 발명된 것이 아니다. 마이크로폰을 최초로 개발한 벨은 귀가 상해 소리 를 잘 듣지 못하는 청각 장애인들이 정상적으로 살아갈 수 있게 해 주려고 고민하다가 이 기계를 발명했고, 

그 뒤 마이크로폰은 소리를 전달하는 각종 기계에 핵심 부품으로 쓰여 인류에게 큰 공헌을 해 왔다.

그렇다면 이제 억울하게 '도청죄'의 오명을 뒤집어쓴 마이크로폰을 제자리로 돌려줘야 하지 않을까?

도청의 폐해가 사회 각 영역으로 확대되자, 오늘날 세계 여러 나라에서는 '도청 금지법'을 제정하여 도청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 

그러나 도청 문제는 규제만 강화한다고 해서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그에 앞서 남의 이야기를 엿듣는 행위가 윤리· 도덕적으로 

얼마나 나쁜 행동인지, 얼마나 무서운 범죄 행위인 지를 모두가 깨달아야 한다.

마이크로폰이 온전히 소리일꾼으로서 역할을 다할 수 있으려면 도청에 대한 규제와 함께 도청에 대한 올바른 의식이 확립되어야 하는 것이다.



반응형

'유용한 건강 생활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플라스틱 탄생과 미래  (0) 2020.06.30
반도체와 오존층  (0) 2020.06.30
휴대폰과 전자파  (0) 2020.06.30
에어컨역사와 여름 감기  (0) 2020.06.30
이어폰의 탄생일화  (0) 2020.06.3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