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유용한 건강 생활 정보

비누가 없던 시절에는 우리는 어떻게 빨래를 했을까?

by 사라1 2020. 6. 28.

비누가 없던 시절에는 우리는 어떻게 빨래를 했을까?

비누와 세제의 탄생이야기


비누가 없던 그시절에는 우리는 어떻게 빨래를 했을까?

호랑이 담배 피던 그 시절 우리는 옷을 돌멩이 위에 올려놓고 손으로 비비거나 빨랫방망이로 두드린 다음 물에 넣고 흔들어 빨았다. 

그러면 섬유에 끼여 있던 때가 빨랫감에서 떨어져 나와 흐르는 물에 씻 겨 나갔다. 하지만 기름때, 찌든 때는 잘 빠지지 않았다. 



그러면 별수없이 더러운 대로 입고 다녀야했다. 아니면 기어코 때를 벗기려고 빨랫방망이로 마구 두드리거나 

발로 질근질근 밟고 손으로 박박 문질러 대기도 해야만 했다.  그러다 보면 팔다리, 어깨, 허리가 안쑤시고 저리는 대가 없을뿐만 아니라 

옷도 금방 너덜너덜해졌다.  "아이구 이러다가 아까운 옷 다 버리겠구나".... 

옷감을 상하게 하지 않고 힘도 들이지 않고 때를 쏙 빼는 방법이 없을까???

이 고민을 통해 탄상하게 된것이 비누였다


기름때도 쏙 뺄수 있다. 

비누의 첫 등장! 

비누는 지금으로부터 약 2600년 전에 페니키아인이 처음으로 만들었는데, 

나무를 태워 만든 재와 산양의 기름을 물에 섞어서 만들었다. 

나무를 태운 재는 탄산칼륨을 함유하고 있어서 이것을 물에 풀고 산양의 기름을 섞으면, 기름의 지방산이 

알칼리 성분의 탄산염과 결합하여 비누가 만들어지는 것이다.



자, 그런데 이렇게 만들어진 비누로 빨래를 했더니 놀라운 일 이 벌어졌다. 

기름떄가 쏙 빠지게 된것이다 꼬질꼬질하게 껴있던 시커먼 때들도 다 빠지게 되었다

한 마디로 빨래의 혁명'이 일어난 것이다.  왜 그럴까? 어째서 비누로 빨래를 하면 기름때나 찌든 때가 쏙 빠지게 되는 걸까? 

비밀은 비누 분자의 성질에 있다. 비누 분자는 소수기와 친수기 로 되어 있는데 

친수기는 물을 좋아하고 소수기는 물을 싫어하여 먼지나 기름 분자에 달라붙는다. 

그래서 비 누칠을 하여 빨래를 하면 비누의 소수기가 빨랫감에 붙은 때를 에워싸서 빨래에서 떨어져 나오게 한다. 

이렇게 떨어져 나온 때 들이 물에 씻겨 내려가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비누로 빨래를 하면 기름때는 찌든 때든 도저히 옷에 달라붙어 있을 재간이 없다.





합성 세제의 탄생

그런데 1890년 어느 날, 독일의 화학자 크라프트가 실험을 하다가 우연히 탄화수소 등의 화학 물질이 알코올과 결합해 

비누처럼 거품을 만드는 현상을 발견했다. 

그는 이거품이 비누처럼 빨래를 하는 데 효과가 있을지도 모른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직접 빨래를 해 보았더니 때가 아주 잘 빠졌다. 이렇게 해서 그는 최초의 합성 세제'를 만들어 냈다. 

하지만 당시 사람들의 반응은 시큰둥했다. 

비누도 좋기만 한데 뭐하러 굳이 그런 걸 만들어 써? 정말 할 일 없는 사람이군




하지만 제1차 세계대전이 터지자 사정이 달라졌다. 

당시 전쟁 중이던 독일군이 비누의 원료인 동식물의 기름을 무기의 윤활유로 사용함에 따라 비누를 만들 원료가 부족해진 것이다. 

아무리 전쟁중이라도 벌거벗고 사는게 아닌 이상 옷을 빨아 입어야 할 텐데 도대체 방법이 없었다. 그래서 사람들은 뭐, 좋은 수가 없을까? 

하고 고민하다가 마침내 석탄을 이용하여 비누와 똑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합성 세제를 만들어 냈다. 

요컨대 비누의 원료인 동물성 기름 대신 석탄을 가열할 때 생기는 끈끈한 액체 콜타르를 사용하여 새로운 세제를 만들어 낸 것이다. 



이 때부 터 합성 세제의 시대가 막을 올리게 되었다.

깨끗하게 빨려요고 아주 편리했다 합성 세제를 써 보니까 장점이 한두 가지가 아니었다. 

비누를 앞도하는 세정 능력을 갖췄다

비누는 강물이나 우물물 같은 센물에서는 거품을 만들지 못한다.

물에는 칼슘이나 마그네슘 같은 광물질이 많이 녹아 있는데, 비누 분자가 이런 광물질과 결합하여 물에 녹지 않는 끈끈한 물질로 바뀌기 때문이다. 

이 끈끈한 물질은 수돗물로 빨래를 했을 때도 생기는데, 물에 씻겨 내려가지 않고 옷감에 그대로 달라 붙어 있다가 옷을 말려 다렸을때 

보기 흉한 노란 얼룩으로 바뀌기도 한다.

때를 없애려고 사용한 세제가 옷에 또 다른 때를 남기는 결과를 낳는 것이다.

그러나 합성 세제를 쓰면 단물에서건 센물에서건 옷이 깨끗하 게 빨린다. 

합성 세제는 어떤 물에나 잘 녹기 때문이다. 


물에 잘 녹는다는 장점은 또한 빨래를 훨씬 쉽게 하게 해 주었다. 

비누는 옷에 박박 문지른 다음 빨랫감을 손으로 비벼 주어야 거품이 일지만, 합성 세제는 옷에다 살살 뿌린 뒤 발로 

밟거나 세탁기에 넣고 돌리기만 해도 옷감의 때를 쏘옥 빼 주니까. .



그러니 크라프트와 같은 시대에 산 사람들이 이 사실을 알았다면 몹시 후회하지 않았을까? 

훌륭한 발명품을가지고 부정적인 생각을 했으니 진작 알았으면 빨래를 더 쉽게, 더 깨끗이 할 수 있었을 텐데!”

세탁기만 있으면 누구나 손쉽고 멋지게 빨래할 수 있게해 주는 합성 세제.

그러나 안타깝게도 이 위대한 발명품은 치명적인 약점을 안고 있다.



그건 바로 물을 더럽히는 주범인 것이다

합성 세제 합성 세제 속에는 기름때를 잘 분해하는 '알킬벤젠술폰산염 이관 는 화학 물질이 들어 있다. 

그런데 알킬벤젠술폰산염은 옷에 달라 붙은 때는 잘 분해하지만 정작 자신은 미생물(박테리아, 균류 등 현미경이 없으면 볼 수 없는 아주 작은 생물로, 자연계에서 물질을 분해하는 역할을 한다)에 분해되지 않는다. 


독성이 강해 미생물이 먹지 않으므로 강이나 바다까지 그대로 흘러가는 것이다. 

그럼 강과 바다에서는 어떤 일이 일어날까? 가장 위험한 것은 물에 사는 물고기들이다. 

멋모르고 입을 빼 끔대다가 물에 들어 있는 알킬벤젠술폰산염을 마구 먹게 되면, 병이 들거나 생김새가 이상하게 바뀌기 때문이다.

위험은 사람에게도 닥친다. 그런 물고기를 먹으면 사람 역시 알킬벤젠술폰산염을 먹게 되는 셈이기 때문이다.  먹고 먹히는


더구나 이 오염된 물이 상수원으로 흘러들면 우리는 우리가 버린 합성 세제 를 다시 먹는 처지가 되고 마니까. 

실제로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의 1992년 조사에 따르면, 당시 우리 나라의 수돗물에는 11 당 0.1~0.5mg의 합성 세제가 포함되어 있었다. 

수돗물도 안심하 고 마실 수 없는 시대가 된 것이다.  (그 계기로 정수기란 발명품이 탄생 인간의 생존본능이라...)



이 밖에 합성 세제에는 살리실산이라는 물질도 들어 있다. 

살리 실산은 빨래나 설거지를 할 때 옷감이나 그릇에 달라붙어 있는 세균을 죽이는 작용을 한다. 

그런데 이 물질이 하는 역할이 또 있다. 우리 어머니들의 손에 피부염, 이른바 주부 습진'을 일으 키는 것이다.

살리실산은 세균을 죽일 정도로 독성이 강한 만큼 사람의 피부에도 염증을 일으킨다. 

맨손으로 합성 세제를 계속 사용 하면 처음에는 피부가 발개지며 몹시 가렵다가 나중에는 피부가 갈라지고 지문이 없어지기까지 한다. 


이것이 바로 주부 습진의 증상으로, 일본에서 발표된 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합 성 세제를 많이 사용하는 

주부일수록 주부 습진에 걸릴 확률이 높다.  샴푸를 많이 쓰면 머리카락이 가늘어지고 탈색되거나 심지어 빠지기까지 하는 이유도 

합성 세제의 이런 독성 때 문이다.

얼마나 독성이 강하면 비누를 그토록 잘 갉아먹는 식성좋은 쥐가 합성 세제는 건드리지도 않을까?




그럼 이렇게 나쁜 합성 세제를 몽땅 없애 버려야 하는 걸까? 

하지만 합성 세제를 안 쓰면 무엇으로 빨래를 하고 그릇을 닦고 머 리를 감지? "비누가 있잖아요, 비누가!"

현재까지 사람들이 찾아 낸 답은 합성 세제와 똑같은 효과를 내는 비누를 써서 물의 오염을 방지하자는 것이다. 


오늘날에는 비누 제조 기술이 발달하여 합성 세제처럼 물에 잘 녹으면서 찌꺼기를 만들지 않는 비누가 다양하게 나와 있으니 그나마 다행이다.

그러나 비누 역시 완전히 안심할 수는 없다. 합성 세제보다 덜 하기는 하지만 비누에도 잘 분해되지 않는 물질이 많이 들어 있으니까.

이 때문에 세제를 만드는 회사에서는 소비자의 요구와 감시 속에서 독성이 없고 분해가 잘 이루어지는 세제를 개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하천 길이가 짧고 하수 처리율이 낮은 우리 나라에서는 더 빨리 물에 분해되는 물질로 세제를 만들어 부작 용을 줄여야 할 것이다. .

인간의 편리를 위해 발명된 합성 세제지만, 그것이 물을 오염 시킨다면 그 피해는 결국 우리에게 돌아온다. 우리 역시 자연의 일부니까.


편리함을 위해 무언가를 개발하고 하지만 개발한 제품의 단점때문에 그걸 보안하기위에 또다른걸 개발하고 그러다보면 자연에게서 멀어지게 되고 우리는 자연의 일부인데.....






반응형

댓글